고지혈증은 혈중 지질 농도가 높은 것으로 이상지질혈증이라고도 부릅니다. 지질은 세포막, 호르몬, 신경전달, 에너지 등 다양한 생명활동에 쓰이므로 매우 중요하나 과한 경우 혈관에 축적되어 문제를 일으킵니다.
고지혈증 자체는 어떠한 증상이나 불편감을 일으키지 않으나, 이로 인해 합병증이 생기는 것이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동맥에 지질이 쌓여 동맥경화를 일으키면 그 결과는 뇌졸중, 협심증, 심근경색 등 치명적입니다.
따라서 지질의 관리를 공격적으로 하는 것이 현재 추세이며, 같은 지질 수치여도 각 개인의 상황에 따라 약 복용 여부, 복용하게 된다면 약의 종류가 달라지게 됩니다. 심지어 수치가 낮더라도 심장병과 같은 병력이 있다면 지질을 낮춰주는 약을 복용하게 될 수 있습니다.
흔히 처방받는 약으로는 스타틴, 에제티미브, 페노피브레이트, 오메가-3 지방산이 있습니다.
1. Statin
스타틴은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차단합니다. 콜레스테롤의 생합성이 되지 않으므로 혈중 지질 농도가 낮아집니다.
스타틴의 단독 약제로는 크레스토, 리바로, 리피토 등이 있습니다.
에제티미브나 페노피브레이트 등과의 복합제도 있어 두 가지 약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먹기 편리합니다.
콜레스테롤의 생합성이 저녁에 이루어지므로 스타틴도 저녁에 복용하도록 알려져 있었으나 현재는 반감기가 긴 약물이 개발되어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복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녁 복용 : simvastatin, lovastatin, pravastatin, fluvastatin
아무때나 : atorvastatin, rosuvastatin, pitavastatin
아무 때나 복용해도 되는 약제라 할지라도 아침이든 저녁이든 일정한 시간에 복용해야 합니다.
저녁에 복용하는 약제를 아침에 계속 복용해 왔던 경우, 갑자기 저녁으로 시간을 바꾸지 말고 원래 먹던 시간에 일정하게 복용하고 처방의와 상의합니다. 아침이나 저녁이냐도 중요하지만 약을 잊지 않고 잘 먹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스타틴을 처음 복용하는 경우 두통, 위장불편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시간이 흐르면서 적응하며 부작용의 증상이 사라지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심한 근육통이 생긴다면 의사에게 알립니다. 횡문근융해증과 같은 치명적인 부작용은 매우 드물며, 일반적인 근육통은 약의 용량을 줄이거나 종류를 바꾸면 사라집니다.
스타틴이 혈당을 올리거나, 간수치를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고용량의 스타틴을 장기간 복용할 경우 매우 드물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이며 이로 인한 위험보다는 혈중 지질 농도를 낮춤으로 인한 이득이 더 크므로 약의 복용을 임의로 중단하지 않습니다. 또한 스타틴 복용 시 간수치를 정기적으로 체크하게 되므로 잘 모니터링하면 됩니다.
(혈관에 지질이 쌓여 동맥경화 등 각종 치명적인 증상이 생길 가능성 >>> 당뇨가 생길 가능성)
2. Ezetimibe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저해하는 약입니다. 하루 한 번, 식전 식후 상관없이 복용합니다.
부작용으로 위장장애, 두통, 비염, 간독성이 있습니다.
위와 같이 스타틴과의 복합제가 다양하게 있습니다.
ex) 로수젯 : rosuvastatin + ezetimibe
리피토플러스 : atorvastatin + ezetimibe
바이토린 : simvastatin + ezetimibe
이지트롤 : ezetimibe 단일제
3. Fibrate
지방분해효소의 작용을 활발하게 만들어주는 약물입니다. 특히 중성지방의 수치를 낮춰줍니다. 하루 한 번, 식후에 복용합니다.
부작용으로 근육통 가능성이 있습니다.
ex) 프라바페닉스 : pravastatin + fenofibrate
리피딜슈프라 : fenofibrate 단일제
4. Omega-3 fatty acid
건강기능식품으로도 많이 복용하는 오메가3는 중성지방을 낮춰줍니다. 하루 1~2번 식사 후에 복용합니다.
에제티미브는 아무때나, 페노피브레이트와 오메가-3는 식후, 젬피브로질은 식전 등 약의 흡수, 작용에 따른 복용시간이 정해져 있으나 본인이 잊지 않을 수 있는 시간을 정해 두고 먹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5. 기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위 4가지 약물 외에도 혈중 지질농도를 낮춰주는 다양한 약이 있습니다.
PCSK9i (주사제, ex) evolocumab(레파타))
Gemfibrozil
Nicotinic acid
Probucol
2025.05.10 - [약학 노트] - 경구 당뇨약의 종류, 복용시 주의사항과 장점 및 부작용 알기
경구 당뇨약의 종류, 복용시 주의사항과 장점 및 부작용 알기
1. BiguanideLilac에서 유래된 약으로 메트포르민이라는 성분명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라일락에서 추출한 물질이 혈당 강하 작용을 나타냈는데 부작용과 독성을 줄이기 위해 연구하여 탄생한 것
berrydrops.tistory.com
'약학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구 당뇨약의 종류, 복용시 주의사항과 장점 및 부작용 알기 (2) | 2025.05.10 |
---|---|
팜프로, JVM 기계를 사용해 약 조제하기 (0) | 2025.05.09 |
Sulfanilamide 기원 항균제, 당뇨약, 항경련제, 이뇨제, 진통제 등 (0) | 2023.10.06 |